알뜰폰 요금제를 찾고 계신 당신 동일한 통신 품질을 누리고, 매월 발생하는 통신 요금을 절감하기 위해 찾아오셨죠?
오늘은 알뜰폰 요금제를 사용했을 때 문제는 없을지, 절약되는 통신요금은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알뜰폰이라는 명칭 때문에 뭔가 품질에 문제가 없을까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는데요.
알뜰폰을 5년 넘게 사용하고 있는 입장에서 그런 부분은 하나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알뜰폰 서비스를 하는 회사는 굉장히 많은데요. 모두 기존의 대규모 사업자 SKT, KT, LG유플러스의 통신망 중 하나를 이용합니다.
그래서 저도 5년간 사용하며 문제를 경험했던 적은 없기에, 비즈니스 용으로 뭔가 사용에 문제가 있지 않을까하는 걱정은너어두세요.
우선 설명에 앞서 LTE, 전화통화, 데이터 무제한을 기준으로 간략히 설명한다는 점 입력해 두시구요.
요금제 안내를 보고 있자면, 종류가 너무나도 많고 이해가 안 되어서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또 최근 몇년간의 가족할인등으로 묶여서 다른 통신사로 이동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구요.
그런데, 알뜰폰을 사용해서 1년간 1인 기준 최대 40여 만원을, 동일 품질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도 누릴 수 있다면 이래도 바꿀 이유가 안 될까요?
돈을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매달 흘러나가는 통신요금을 아끼는 것, 버는 것 이상으로 굉장한 일입니다.
알뜰폰이 최근 몇년 사이 서비스 회사가 많아지며 더욱 폭이 넓어지고 있습니다. 아까 말씀드린 것 처럼 LTE 기준 음성통화, 문자, 데이터 무제한 기준으로 생각해 볼까요?
기존 대규모 사업자 SKT, KT, LG유플러스를 보면 살짝씩 차이는 있지만 월간 8만 원가량을만원 가량을 납부하는 경우가 많죠?
2년 또는 3년 약정에 할부 기기값까지 더해져 1인당 조금 과장해 10만 원의 월 통신요금이 발생합니다. 만약 2인 가구라면 20만 원, 4인 가구라면 40만 원 절대 작지 않은 금액이 되네요.
내게 맞는 알뜰폰 요금 한 번에 비교하는 방법
1) 네이버에서 알뜰폰 허브를 검색하고 접속합니다. 또는 바로가기 링크를 클릭합니다.
2) 맞춤 요금제 상품 클릭 후, 조건에 맞는 요금제를 검색해 봅니다. 상품 구분은 유심을 선택하면 되겠어요. 우리는 나의 스마트폰에 유심만 바꿔 사용하는 것이니까요.
알뜰폰으로 바꾸면 이 금액이 어떻게 될까요? 아래 사진처럼 월 2만원 내지 만원 후반대의 요금이 나옵니다. 8만원 빼기 3만 원, 차액 매월 5만 원이 되네요. 1년이면 60만 원 어마어마하죠?
물론 알뜰폰을 사용하면 기존 통신사 제공 편의점, 극장할인 등의 혜택은 없습니다. 또 유심만 구입해서 사용하려면 기기는 약정에 묶이지 않은 내 것 이어야 하죠.
물론 알뜰폰 회사도 기기와 함께 약정 상품을 내 놓기는 하는데요. 저는 유심만 구매하고 기기는 내 것으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이 만큼 더 벌기 얼마나 힘든지 우리는 잘 알잖아요? 그리고 알뜰폰 통신사별 프로모션이 많아져서, 제휴 신용카드로 결제시 1년 또는 2년간 월 납부요금을 1만 원만원 이상 추가할인 받을 수도 있어요.
동일한 통신품질을 누리며 한 달에 5만 원, 1년 이면 60만 원, 두 명이면 1년에 무려 120만 원을 아끼게 됩니다.
바꾸지 않을 이유가 전혀 없는 알뜰폰, 다음 시간엔 나에게 맞는 알뜰폰 요금제를 찾는 방법 그 소식을 가지고 오겠습니다.
'앱테크 부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웹마스터(서치콘솔) 등록 (0) | 2020.06.10 |
---|---|
티스토리 사이트맵 등록 전 준비사항 (0) | 2020.06.09 |
페이팔 가입, 계좌등록하는 방법 PAYPAL (0) | 2020.06.07 |
네이버 회원가입 인증번호 안 올 때 대처방법 (2020) (0) | 2020.06.05 |
음악만 들으면 돈이 벌린다. 커런트 뮤직 (Current Music) (0) | 2020.06.04 |
댓글